자궁내막암에좋은음식들은 분명 우리 몸에 좋은 영향을 끼칠수는 있지만 먼저 의사와의 상담이 가정 우선입니다. 자궁내막암은 미국에서 4번째로 흔한 부인암이며, 1차적으로는 55~70세 폐경 후 여성들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40세이전의 경우에는 5%정도에서 나타나며 개발도상국가의 여성들의 경우 빈도가 4~5배 정도 가량 낮게 나타납니다. 최근에는 경제 성장에 따른 생활 수준 향상에 의해 서구화된 식생활 체형 변화 등오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합니다.

자궁내막암이란
자궁벽은 가장 안쪽의 자궁내막충과 바깥쪽의 근층으로 불리는 두가지 조직층으로 되어있으며 자궁내막암은 자궁벽의 안층에 있는 내막에서 발생한 암입니다.

자궁내막암의 원인
- 자궁내막암의 원인은 에스트로겐에 많이 노출되는 경우 ( 아이가 없는 여성, 12세 이전의 빠른초경, 55세 이후의 늦은 폐경여성)에게서 위험도가 증가 하게 됩니다.
- 50세 이후의 폐경기여성
- 자궁내막 증식증이 있는 경우
- 비만: 정상체중에 비하여 10~22kg 과체중인 경우 발생율이 3배, 22kg 이상인 경우엔 10배 증가하게됩니다.
- 고혈압과 당뇨: 고혈압을 가진 여성은 1.5배의 위험성이 있으며 당뇨가 있는 여성은 1.3~2.8배 정도 위험성이 증가됩니다.
- 타목시펜 복용: 유방암 치료제로 사용하는 타목시펜은의 복용은 자궁내막의 위험도가 2~3배 정도 증가됩니다.
- 유전성 비용종성 대장암인 경우엔 자궁내막암 위험율은 20~60% 증가되는것으로 추정됩니다.
자궁내막암의 예방
- 1차적인 예방의 초점은 고위험에 노출된 여성에게 맞추어 40세이상 연령의 여성과 자궁내막증식증 같은 전구병변이 암으로 이어질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줘야만 합니다.
- 절제된 식습관, 꾸준한 운동
- 고혈압과 당뇨에 대한 조기 진단 및 치료
- 호르몬요법 중일 시에는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의 복합호르몬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자궁내막암에좋은음식
- 비타민 D와 칼슘: 연구에서 비타민 D와 칼슘의 섭취가 자궁내막암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 유제품,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생선(예: 연어, 고등어) 및 강화된 식품(강화 우유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채소와 과일: 항산화물질, 식이섬유, 비타민 및 미네랄이 풍부하여 일반적으로 암 예방에 좋습니다.
- 식물성 단백질: 콩과 같은 식물성 단백질은 항산화물질과 식이 섬유가 풍부하여 자궁내막암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녹차: 몇몇 연구에서 녹차의 폴리페놀이 자궁내막암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전분이 풍부한 식품: 고구마, 감자, 밥 등과 같은 전분이 풍부한 식품은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자궁내막암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올리브 오일: 다양한 연구에서 올리브 오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자궁내막암에좋은음식을 그냥 섭취를 하기보단 항상 의사나 영양 전문가와 상의하여 최적의 식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의 연구는 암 예방에 특정 음식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그 효과는 개인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건강 상태와 목표에 따라 식단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궁내막암 증상
자궁내막암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비정상 질 출혈과 분비물로 환자들의 약 90%에서 나타납니다. 폐경후 질 출혈은 자궁내막암 환자의 약 90%에서 나타나며 폐경 전이라도 심한 생리불순과 분비물이 있을경우엔 검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외의 증상으론 자궁비대, 골반압통이나 통증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복강내 전이가 있을 경우 복부팽창, 조기 포만 및 장폐쇄 등이 나타나며 무증상인 경우도 5%내외로 있습니다.
자궁내막암 Q&A
Q1: 자궁내막암과 자궁경부암은 어떻게 다른가요?
A1: 자궁내막암은 자궁의 내부를 덮고 있는 자궁내막에서 시작되며,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아래 부분인 자궁경부에서 발생합니다. 두 암 모두 자궁에서 발생하지만, 발생 위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등이 다릅니다.
Q2: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요?
A2: 초기 단계에서는 수술이 주요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며, 진행된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나 화학 치료가 함께 사용될 수 있습니다.
Q3: 진단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A3: 골반진찰, 질초음파검사, 조직검사, 자궁경부세포검사, MRI, CT등이 있습니다.